Wednesday, 15 September 2010

고마운 선풍기 - Thank you, Electric Fan!

호들갑스레 무덥던 여름의 끝자락이
성큼 다가서는 가을의 발걸음에 부대끼는 날들이다...
The remaining heat of the last summer is lingering
at the footsteps of the upcoming autumn.

원래 선풍기도 잘 틀지 않는 성격인데
올 여름은 선풍기를 참 요긴하게 썼다.
녀석은 간신히 팬이 돌기는 하지만 오래 되어 놔서 많이 헐었다.
그래도 아직은 제 구실을 톡톡히 한다.
I do not turn on electric fans usually,
but this summer, I used my fan many times.
Such a hot summer it was.
The fan is working but quite old and even a bit broken.
Still, it is okay.

선풍기를 켤까 말까 버튼을 누르다가...
문득 여름 한 철을 함께 한 선풍기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이제 더 서늘해지면 이 녀석도 창고에 들어가고 말겠지...
사람의 인연처럼 사물들과도 인연이 끝나면 헤어지는 법인가.
나도 내 할 일을 다하면 미련없이 돌아갈 수 있을까...
Today, while I was putting my hand on the fan's button
undecided whether to turn it on or not,
I stared at the fan with fixed eyes.
When the weather gets more chilly, it will go back to the store room.
Like with human beings, there is a time to depart with an inanimate object?
Can I also leave without any regret after I finish my job on earth
as if I have to say good-bye to my fan soon?

Saturday, 4 September 2010

연민 - Compassion

어느 순간 우리들 모두가 참 불쌍한 존재들이라고 느낀 적이 있는가? 각자 열심히 살아가지만 사람의 탓이든 하늘의 뜻이든 일이 잘 풀리지 않거나 갖가지 고뇌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이랄까?
Have you ever felt that we are pitiful beings? Although each of us does our best, either by human or by heaven, it happens that things are not going well and that we undergo loads of agonies. Humans are destined that way?


예수님은 십자가 처형을 앞두고 이 땅에 두고 갈 당신의 제자들이 마치 아비 없는 고아처럼 느껴져 한없이 슬퍼하셨다. 가련한 우리 인간은 오직 하느님의 은총에만 기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Before being taken to the Cross, during a long good-bye, Jesus felt strong pity and compassion for the disciples because they looked like an orphan without a father. For us, pitiful humans perhaps, the only place to turn to is God's grace.
그림 설명: 빈센트 반고흐, 감자 먹는 사람들
Painting: Vincent Van Gogh, Potato eaters

Monday, 30 August 2010

장례 미사 - Funeral Mass

장례 미사에 참석하면 항상 숙연해 지는 기분이다.
한 생을 어떻게 살았든 고인이 스스로 삶을 포기하지 않고 하늘이 데려갈 때까지 묵묵히, 또는 치열하게 살아왔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존경스러운 일이다.
그리고 너나 할 것 없이 '잘 사는 것'에 혈안이 된 이 세상에서 '잘 죽은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I always feel solemn when I attend a funeral mass.
It already deserves respect that the departed lived out his life until the heaven calls him back home.
And in the funeral service, I am give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well-dying' in this world where so many people are only interested in 'well-being'.

Thursday, 26 August 2010

그에게 얽힌 사연은 무엇일까 - What story does he have to tell?

덕수궁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 리얼리즘 Realism in Asian Art'라는 전시회에 다녀왔다. 미술에 일가견이 있으신 분과 함께 찾은 길이었다. 그분께서 붓의 터치, 기법의 능숙도, 전제적인 인상에 대해 간간이 던지시는 말씀에서 배우는 것이 많았다.

I visited an exhibition titled 'Realism in Asian Art'. It was a collection of works by Asian artists upon whom European realism influenced. Since I was there with someone who has an expert knowledge on arts, I could learn a lot from him when he spoke, from time to time, about touches of brush, skills and techniques, or overall impressions on the individual paintings in the exhibition.

서양 미술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후반 이후 아시아 예술가들이 그린 사실주의적인 작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서양 화풍에 동양적 정서와 풍경이 담겨 있어서 한켠으로는 남의 옷을 빌려 입은 듯한 서먹서먹함이 느껴지기도 하고, 한켠으로는 친근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작가들은 수묵화나 옻칠 채색을 통해 자국 문화의 정체성을 더욱 강하게 표현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 점이 기억에 남는다.
The collection consisted mainly of those works since late 1800'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art and adopted realistic approach to the themes. Most of them contained East Asian sentiments and scenery framed in European style of arts. Therefore they gave me some sort of unfamiliarity as if to be wearing someone else's clothes whereas they also made me feel quite comfortable with their Asian elements. Some of the paintings by Chinese and Vietnamese artists were ink-and-wash paintings or paintings varnished with lacquer. Using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and materials, they strongly expressed their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pride.



여러 작품들 가운데서 인상에 남는 그림 하나는 인도네시아의 수조요노라는 작가가 그린 '앙클룽 연주자'라는 그림이었다. 앙클룽은 인도네시아 지역의 전통악기라고 한다. 다소 엷은 색조로 된 이 그림 속 연주자의 모습은 왠지 수척하고 서글퍼 보였다. 음악을 연주하는 이의 얼굴 표정은 기쁘고 즐거워야 할 것 같은데 왜 슬픔이 어려 있어 보이는 것일까. 무슨 사연이라도 가지고 있는 것만 같아 보였다. 전시장에서 실제로 그림을 보았을 때엔 무엇보다도 연주자가 손에 낀 반지가 두드러져 보였는데, 그에게 연인 혹은 아내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 같았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연주를 업으로 삼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슬픈 음악을 막 연주한 참인지... 몽환적인 배경 속에 어색하게 서 있는 앙클룽 연주자의 모습이 은근히도 내 맘 속에 남아 있다.
Among the many works, 'Angklung Player' by Sudjojono, who is an Indonesian painter, lingers in my mind. Angklung is said to be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n Indonesian region. Painted in a light and pale tone, the player looks a bit thin and to be in a deep sorrow. Although not always the case but, is it not generally so that those who play music look merry and happy? But why does this musician look sad? What kind of stories does he have to tell us? When I saw the painting in person at the exhibition, the ring on his hand caught my eyes. It seems to be telling me that he has a wife or at least someone he loves. Maybe he plays the Angklung to support his family? Maybe he just finished playing a sad tune from the Angklung thinking of the one he loves... The Angklung player, who is standing in a shy position with a dreamy background, is still roaming about in my heart.



작품 설명 - About the painting above

신두다르소노 수조요노, 인도네시아, '앙클룽 연주자', 1956년, 캔버스에 유채
Shindudarsono Sudjojono, Indonesia, Angklung Player, 1956, Oil on canvas

Tuesday, 24 August 2010

올 여름 내가 만났던 이들 - My summer memories

처서가 지나니 여름을 갈무리라도 하는 듯 비가 내리고 날이 선선해졌다.
유난히 무더웠던 올 여름, 나는 이들을 만났다...


After Chuseo(one of the 24 seasonal divisions occurring about the end of August according to the Oriental Calendar. We wait for the autumn to come at the time of the year), it rained as if to add the finishing touches to the out-going summer. And the weather cooled down suddenly.

This weather was particularly hot this summer as if in a steamer. During this period, I met those people...


St. Thomas Aquinas: 성 토마스 아퀴나스
E.M.Forster: E.M.포스터
Henry Nouwen: 헨리 나우웬
Henry Purcell: 헨리 퍼셀
Joan Baez: 조앤 바에즈
Reinhard Mey: 라인하르트 마이



Tuesday, 27 July 2010

누군가의 슬픔 - Sorrows of others

며칠 전 최근에 알게 된 어떤 어린 친구가 커다란 슬픔을 겪게 되었다. 용감한 아이라 혼자서 슬픔을 이겨내는 타입이다. 참으로 힘겨운 소식을 듣고 나서 문득 내가 감히 그 슬픔의 깊이를 상상조차 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A few days ago, I heard of a news that a friend of mine whom I came to know quite recently underwent a very grave tragedy. She is a kind of courageous type who tends to be independent and does not want to depend on others to be consoled. After I heard the news, I suddenly realised that I could not even dare to understand the depth and width of the sorrow that she might be going through.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들의 아픔에 대해 깊은 연민을 느끼셨다. 그런데 나는 다른 이들의 아픔을 과연 얼마만큼이나 이해할 수 있을까. 내 삶의 작은 불편함에는 목놓아 울면서 다른 사람들의 상실과 고통에는 무심한 것이 아닌가. 아니, 무심하기에 앞서 타인의 슬픔을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이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Jesus felt deep compassion towards other people's sorrow. But how much can I understand that? I cry out aloud over petty inconveniences in my life but can be very much indifferent towards loss and pain of the others. No, not just indifferent. Do I really have the will and capacity to understand them?

어줍잖은 위로를 하려고 덤비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누군가의 슬픔에 진정한 연민을 느낄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예수님을 닮은 모습으로...
Instead of trying to console others without a slightest idea of what their sorrows might be, I wish to be a person of true compassion. Just like Jesus himself...

Thursday, 22 July 2010

마리아 막달레나 - Mary Magdalene

어떤 책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의 조각상을 보게 되었다. 도나텔로가 나무로 조각한 이 조각상은 마리아의 여성성을 부각하기 보다는 남루한 옷에 비참한 얼굴 표정으로 파격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그 책의 저자는 그리스 여신상의 튜닉을 닮은 마리아의 남루한 옷이 오히려 더욱 강렬한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I happened to come across a wooden sculpture of Mary Magdalene in an art book. It was a piece of art by a Florentine artist Donatello(1386-1466). This sculpture carries an exceptional beauty. Instead of focusing on a feminine beauty of Mary, the artist depicts desparate expression of her face and her situation, though not clearly seen what she might have been through, with worn-out garments on. The author of the book says her dress, which resembles a tunic of Greek goddesses, rather stresses Mary's tragic state.

마리아 막달레나는 예수님을 그다지도 사랑했던 사람이다. 조각에서 나타나듯 간절한 표정으로 두 손을 모은 그녀는 지금 어떤 마음일까. 그녀의 얼굴에서 단순한 절망보다는 마지막 희망을 하느님께 두고 그분께로 돌아가려는 마음이 읽힌다. 성서의 '돌아온 아들'의 비유를 떠올리게 한다.
Mary Magdalene loved Jesus so much. In the sculpture where Mary is putting her hands together with a desparate expression on her face, what could be her innermost emotions now? Well, I see in her not a simple despair but a heart facing God in a way that she put the last hope in Him. Somehow it reminds me of the parable in the Bible: the prodigal son.

나이가 들면서 이 세상 누구도 자신의 문제를 대신 고민해 줄 수도, 책임져 줄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부모나 선생님이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라는 깨닫는 순간은 고독한 순간이기도 하다. 결국 자신의 일은 자신이 책임질 수밖에 없다는 단순한 진리를 깨닫는 순간...

As I grow older, we realise there is no one on earth who can worry about things for me or can bear responsibility for me. The time when you realise neither parents nor teachers are omnipotent is the time of solitude. The moment of truth that you are the only one who can be responsible for yourself...

그러나 유한한 인간이 얼마나 '책임'질 수 있겠는가. 때로 감당하기 어려운 쓰라림이 있을지라도 정말 돌아가야 할 곳이, 정말 기댈 수 있는 곳이, 우리 곁에 있다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독함인지도 모른다. 도나텔로의 마리아는 멀고 긴 길을 돌아서 이제는 궁극적으로 가야할 길을 깨닫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살짝 아래로 향한 눈은 이제 마음 속에서 깊은 사랑으로 그분을 향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But how much responsibility can a human, who is a 'finite' being, fulfill? Perhaps, that moment of solitude may be a passage of rite in order to realise there is a Being whom we ultimately turn to, a Being whom we can truly rely on. Donatello's Mary must've been realised where she should turn to after a long journey. Her slightly down-cast eyes are now looking at Him in her deepest heart of love.
그림: 도나렐로 '막달라 마리아' 조각상 스케치
Picture: a sketch of Donatello's 'Mary Magdalene'

Friday, 16 July 2010

남는 것은 사랑 - Love which remains to the last

풍경화 전시회를 찾았다. 터너와 컨스터블로 대표되는 영국 풍경화와 이들이 프랑스 인상주의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삼은 전시회였다.
I recently visited an exhibition of landscape paintings.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as English lanscape painting mainly, though not entirely, represented by Turner and Constable, and their impact on French impressionism.

인물화와 정물화를 거쳐서 가장 마지막에 발전하게 되었다는 풍경화... 전시장을 가득 메운 나무, 구름, 호수, 바다, 가축들, 그리고 전원풍경을 보며 인간이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처럼 인간을 감싸주는 자연이 있기에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화가들이 그제서야 인간을 둘러싼 자연에 눈을 돌린 것이다. 더이상 인간만이 주인공이라는 착각을 버리고...
Landscape painting is a genre developed only after portrait, or depiction of people, and still-life. While looking at paintings of the trees, clouds, lakes, sea, livestock, and pastures, I came to think man cannot exist alone, but that he can exist only in the bossom of the mother nature. Maybe painters could turn their eyes only then to the surrounding nature. They could awaken their minds from the illusion of man's be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whole universe.

전시회 벽에는 문구들이 새겨져 있었는데, 어떤 풍경화 교본의 저자는 풍경화를 여러 가지 미술적 기교를 통해 인간에게 아름다움의 기쁨을 전해 주는 것이라고 정의내리고 있었다. 음... 풍경화를 그렇게 정의내리다니... 아무리 주제를 인간에서 자연으로 전환했다고 하더라도 결국은 인간 중심주의를 벗어날 수는 없는 것인가 싶었다.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hall were written some sentences. One of them was by a certain author of a textbook for landscape painting. According to his definition, landscape painting is to give aesthetic pleasure to human being through artistic skills of painting nature. Is that the definition for landscape painting? Well, I was a bit disappointed by his description. If then, even if painters turned their eyes from man to nature, it still was trapped in the idea of 'human-centeredness'.

그런데 우리들에게 작품을 설명해 주던 도슨트가 전시회 투어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어느 화가가 풍경화를 그리는 이유였다. 그것은 단지 그가 자연을 사랑하기 때문이란다...
But the docent who guided us throught the exhibition conveyed her final remark at the end of the tour from a landscape painter. It was about why he painted landscape. And the reason was because he loved nature.

우리가 아무리 노력하더라도 결코 우리의 시각에서 사물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것에 사랑을 담는 것이 아닐까. 그럴 때에만 오만한 인간중심주의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은 아닐런지...
Well, no matter how hard we try, we may only be able to see the world from our own restricted view. But the important thing is to put love in it. Only then we could be free from the proud notion of human-centeredness.


그림설명: 존 에버렛 밀레이 '버넘 협곡'
Painting: 'Glen Birnham' by John Everett Millais

Monday, 12 July 2010

좁은 문 - A narrow door

팔공산에 중암암이라는 조그만 암자가 있다. 그곳에는 욕심을 버려야만 지나갈 수 있다는 돌로 된 통로가 있다 한다.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내려 놓아야 한다. 마음의 근심과 슬픔까지도... 그것이 참 쉽지 않은 일이리라.

There is a hermitage in Mt.Palgong. In this small Buddhist temple, there says to be a narrow passage made out of stone thorugh which you can pass only after putting down your greed. To pass through a narrow door, we need to put down what we have in our hands, or even possibly, in our minds. I mean, worries or sorrows. That is not always easy.


[루카 복음 13,22-24]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으로 여행을 하시는 동안, 여러 고을과 마을을 지나며 가르치셨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예수님께 "주님, 구원받을 사람은 적습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도록 힘써라.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많은 사람이 그곳으로 들어가려고 하겠지만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Luke 13,22-24]
Jesus went through towns and villages, teaching the people and making his way toward Jerusalem. Someone asked him, "Sir, will just a few people be saved?" Jesus answered them, "Do your best to go in through the narrow door; because many people will surely try to go in but will not be able."

Friday, 9 July 2010

쓸모 없음의 쓸모 - Usefulness of the Useless


헨리 나웬 신부님이 쓰신 어떤 책에서 중국에서 전래된 이야기를 하나 읽게 되었다.
In a Henri Nouwen's book I read an old story from Chnia.

목수 한 사람이 그의 제자와 함께 커다란 숲을 지나가고 있었다. 그들이 높고, 크며, 옹이가 지고, 오래되고, 아름다운 떡갈나무 앞을 지나게 되었을 때, 목수는 자신의 제자에게 물었다. "얘야, 너는 왜 이 나무가 이다지도 높고, 크며, 옹이가 지고, 오래되고, 아름다운지 알고 있느냐?"
제자는 스승을 바라보더니 말했다.
A carpenter and his apprentice were walking together through a large forest. And when they came across a tall, huge, gnarled, old, beautiful oak tree, the carpenter asked his apprentice: "Do you know why this tree is so tall, so huge, so gnarled, so old and beautiful?"
The apprentice looked at his master and said:

"잘 모르겠습니다...왜 그렇죠?"
"No ... why?"

스승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그건 말이다,이 나무가 쓸모 없는 나무이기 때문이지. 만약에 이 녀석이 쓸모가 있는 재목감이었다면 이미 오래 전에 베어져서 책상이나 의자로 만들어졌겠지. 허나 이 녀석은 쓸모가 없는 재목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높이, 아름답게 자라나 그늘을 주고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지."
"Well," the carpenter said, "because it is useless. If it had been useful it would have been cut long ago and made into tables and chairs, but because it is useless it could grow so tall and so beautiful that you can sit in its shade and relax."

Tuesday, 6 July 2010

중대한 이유 - A grave reason

일전에 어떤 학자 한 분을 만났다. 그분께 왜 그 분야를 공부하게 되셨는지를 물었다. 내심 영성적이고 심각한 이유를 기대하면서... 그런데 그분의 답변은 너무도 평범하고 필연성이 없어 보이는 소소한 것이었다...

Once I met a scholar. I asked him why he chose that field of studies, expecting a rather spiritual and grave reason... But his answer seemed to be so plain and lacked necessity to me...

어떤 일을 하는 데에 반드시 그럴 수밖에 없는 필연적이고도 심중한 이유가 있어야만 하는 것일까. 살아가다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그렇다면 성찰 없이 대충대충 사는 것과 그저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Do we need a necessary and grave reason to do something? Well, it may not be always the case. Then what is difference between living a life without thinking or living a life following the Providence?

어떤 선택을 위해서 중대한 이유가 있어야만 한다는 생각은 버리는 것이 나을 것 같다. 하지만 이왕에 선택한 것이라면 중대한 이유가 있기라도 한듯이 수행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Perhaps it is better to give up the notion that we need a grave reason to choose something. However, if something is chosen, it is better to perform the duties evolved in it as if there existed a grave reason.

Saturday, 5 June 2010

알베르 칸의 세계 - The world of Albert Kahn

Albert Kahn이라는 프랑스 사람이 자신이 고용한 사진사들과 함께 archive of the planet이라고 해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지구상의 여러 곳을 찍은 사진과 영상필름들을 모아둔 것이 있다고 한다. 아일랜드, 지중해 등 유럽은 물론이고, 중국, 일본, 몽골에서 인도, 남미까지 역사의 격변기에 사라져 가는 일상사들이 흑백 또는 컬러 사진으로 담은 소중한 자료이다.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 Frenchman by the name of Albert Kahn established 'the Archive of the planet' with the helps from many photographers he employed. This archive has a vast collection of still pictures and films in black and white or in colors, which contain social, cultural, and traditional scenes of many countries on earth in the time spa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areas it covers are from Ireland to Japan, from China to South America. These scenes depict daily lives of the local people and the lifestyles in the scenes are now mostly destroyed or disappeared in the turmoil of revolution and industrialisation.

그이의 작품들과 그 맥락을 소개하는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옛 사람들이 살던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몇몇 컬러 사진들은 이들이 입고 있던 옷이며 머리 장식 등의 짙은 원색을 그대로 담고 있었는데, 화려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이 아직 인간과 자연이 함께 숨쉬고 있던 시절을 느끼게 하였다.

Watching a documentary on Kahn's archive, I could see the vivid picture of how people lived in the past. Some of the colour photos showed traditional clothes and distinctive hair-styles in deep colours. Their dazzling but natural beauty made me realised how they were still in tune with nature.

청나라에서 독립한 직후 몽골에서는 불교 승려들이 정치적 영향력도 가지고 있었다고 하는데, 어느 사진에는 많은 몽골 승려들의 모습도 담겨 있었다. 하지만 이후 공산화를 거치면서 승려들이 고문과 처형을 당했다 한다. 어느 컬러 사진은 화려한 붉은 빛 천으로 전족한 발을 감싸고 있는, 애수 어린 표정의 어느 여인이었다. 변발한 중국인들과 인도의 힌두교인들... 미래를 꿈꾸며 아르헨티나로 향하는 배에 오른 가난한 이민자들... 이들 모두는 어떤 삶을 살다 갔을까.

It is said that right after Mongolia gained independence from Chinese Ching dynasty, buddhist monks held not only religious authority but also political power. Some of the photos showed the monks in their splendor. However, during the communist era, many of them suffered torture and death. In another photo, there was a chinese woman with bound feet. Her feet were covered with red cloth following the high fashion of those days. The dashing red colour provoked a strange but mysterious contrast with the sadness on her face. Chinese men with queues and Indian Hindi monks... European immigrating families on board the ship bound for Argentina. I wonder how their lives had been like after all?

Kahn의 사진들은 웅장한 유적지가 아니라 당시 시골과 도시의 거리를 거닐던 생활인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혁명과 산업화, 정치적 충돌 등으로 인해 그 후 사진이 담았던 많은 것들이 소실되었을 터이다. 사진과 영상물들에 담긴 옛 사람들의 모습이 이제는 역사의 기억으로만 남게 되었다니, 문득 그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아직 서민들의 수수함은 물론 귀족들의 화려함과 승려들의 고풍스러움도 대자연의 호흡을 잃지 않고 있었던 듯한 한 세기 전의 삶에 대한 새로운 궁금증과 동경도 올라온다.

Kahn's photos are not about extravagant palaces or temples of huge size. They show people from the streets and countryside. Many of the things in the photos must have been lost since then. Considering that the people in the photos and their life-styles no longer exist, I feel suddenly the vanity of life. At the same time, curiosity and admiration for the life in the first days of the 20th century occurred to me. Back then, I assume, life was in harmony with nature. Not only those of common people but also those of nobility and religious elites.

개발과 경쟁으로 삶의 터전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리는 것이 당연시 되어 버린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이미 사라져 버린 옛 사람들의 삶의 양식들이 서글픈 울림으로 내게 남아 있다.

In 21st century Seoul, it became so 'natural' for houses and villages of the poor to be demolished so easily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and competition. Facing this vandalism, Kahn's photos make unending ripples in my mind.

http://www.albertkahn.co.uk/

Monday, 3 May 2010

성모님의 달 오월 - To our Mother Maria


코레지오(1498-1534), 거룩한 밤, 드레스덴
Correggio(1498-1534), The Holy Night, Dresden
Correggio(1498-1534), Die Heilige Nacht, Dresden, Gemäldegalerie, Alte Meister

오월은 성모님의 달이다. 신앙인의 모범으로서 성모 마리아는 내게도 각별한 분이 아닐 수 없으시다.

May is the month dedicated to our Mother Maria. As a perfect example for all the faithful, she is also someone special to me.

코레지오라는 화가가 그린 이 그림을 보면 청순하고 여린 마리아의 모습이 명암의 대조 속에서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나의 친 누나를 연상케 하는 모습이어서 그런지 더욱 의미있게 다가오는 그림이다.

This painting by Corregio depicts the young Jewish girl Maria in an impressive way using light and darkness. Maria in this painting has a spitting image of my own sister to me. Perhaps that's why I like this painting.

그러고 보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믿는 하느님은 참으로 놀라운 분이시다. 이처럼 무명의 한 시골 여인을 통해, 또한 조그마한 아기를 통해 온 인류를 구원할 원대한 계획을 세우시다니. 그 어느 민족과 문화와 종교의 신이 그런 앞뒤 안맞는 생각을 해낼 수 있으랴...

Incidently, the Christian God, to whom we confess our faith, is really amazing. Who could think of the Salvation plan which was carried out by a young unknown country girl and a small child in order to reach to the whole humanity? What kinds of gods and goddesses in various peoples, cultures, and religions could ever think of that unreasonable plan?

우리의 이성으로는 도저히 생각해 낼 수 없는 그 구원의 신비가 이 그림에 담겨 있다. 유대 땅 베들레험 그 작은 고장에서 소리소문도 없이, 조용한 어느 마굿간에서 작은 아기가 태어났다. 그러나 그 아기가 수행할 의무는 이 세상 그 무엇보다도 크고 위대한 것이었다. 그 아기는 바로 하느님이셨다. 생명과 구원의 계획이 우리의 어머니 마리아에게서 한 아기의 모습으로 태어난 이 극적인 순간이 아기에게 비추어진, 아니, 아기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듯한 빛과 더불어 화폭을 넘어 내 마음으로 은은하게 전해져 오는 듯하다.

In the painting we are witnessing the mystery of that 'unreasonable' character of God's Salvation. A small child was born at a stable in that tiny Jewish town of Bethlehem. But the project this child is to carry out is bigger than the whole Universe. The child was God himself. Through this painting, the dramatic moment of the birth of Salvation is burning silently in my heart. Our Mother Maria just gave a birth to the child, who is an embodiment of Life and Salvation, and the light is shone on this child. Or rather, the light is coming forth from this child.

여러분에게 평화가 있기를 - Peace be with you

미사 강론 중에 신부님께서 말씀하셨다. 우리들은 과연 예수님께서 주시는 평화를 '선택'하고 있는지 자문해 보아야 할 것이라고...
지금까지 예수님께 평화를 청하는 기도를 수없이 드렸었다. 그런데 강론말씀을 들으면서 '선택'이라는 말이 그토록 낯설면서도 그토록 내게 깊은 울림을 지니고 다가올 수가 없었다.
그렇다, 평화를 달라고 청하는 것이 아니라, 나 스스로가 그 평화를 살겠다고 선택하고 있는지가 관건이라는 것을...

During the homily today, the father asked us whether we 'CHOOSE' the peace that Jesus is willing to give us...
So far, I've asked for that peace hundreds and thousands of times in my prayers, the peace that only God can grant me. But today, the word 'CHOOSE', ever unfamiliar, came to me with deep resonant sounding.
Yes, it is not that we demand the peace but that we 'CHOOSE' to live that peace.

Wednesday, 21 April 2010

그리스도께 자유를! - Free your Christ!

'너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예수님의 질문에 베드로는 너무도 당당하게 '하느님의 그리스도이십니다'하고 대답한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아무에게도 그 사실을 발설하지 말라고 하시더니 뜬금없이 당신의 '수난과 부활'을 '처음'으로 예고하신다. 당신께서 스스로 말씀하시는 그리스도는 '많은 고난을 겪고 원로들과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에게 배척을 받아 죽임을 당하였다가 사흘 만에 되살아나'는 분이다. 그 때 그 순간의 베드로와 제자들은 과연 그러한 그리스도 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

When asked, 'Who do you think I am?', Peter answers Jesus 'The Christ of God!' with much confidence. On hearing the 'right' answer, Jesus sternly tells the disciples not to tell anyone about his identity. And he mentions for the first time about his 'Passion and Resurrection'. The image of Christ that Jesus himself is describing is the one 'who must suffer many things and be rejected by the elders, chief priests and teachers of the law, and also must be killed and on the third day be raised to life'. I wonder whether Peter and the disciples at that time fully understood his words and accepted this 'terrible' image of the Christ.

성경을 읽거나 강론을 들으면서 나에게 다가오는 예수님은 소외당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위해 오신 분이었다. 교회가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우선적 선택'을 말하고 있듯이 예수께서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복음을 선포하신다. 하지만 과연 '소외당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위해 오셨다'라는 언어적 표현만으로 그리스도를 다 담을 수 있을까. 그 표현이 전적으로 잘못 되었다기보다는 내가 생각하는 '소외'와 '억압'이라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생각하셨던 '소외'나 '억압'과 얼마나 일치하는 것인지 성찰해 볼 일이다.

When I read the Bible or hear homilies, I often draw the images of Jesus who came to the world for the excluded and persecuted. As the Church pronounces 'the option for the poor', Jesus proclaims the Gospel for the poor people. However, could the human expression of 'Jesus came to the world to free those who are excluded and persecuted' contain every aspect of the Christ? I do not mean to say this interpretation of mine(and perhaps many others) is totally wrong. I would just like to ask myself whether my understanding of 'exclusion' and 'persecution' perfectly match Jesus' understanding(if I dare use this verb 'understand' to him) of those terms.

베드로와 제자들은 자신들 나름의 그리스도 상을 가지고서 예수님을 따랐을 것이다. 나 역시 내가 생각하는 그분의 모습을 가지고 있을 터이다. 하지만 점점 드는 생각은 그리스도를 아무리 멋지게 정의(定義)내리더라도 그분은 항상 그 정의보다 더 크신 분일 것이라는 생각이다. 나도 모르게 그분을 내 선입견 속에 가두어 드리고 있지는 않을까. 그리하여 그분께서 스스로 말씀하고 계시는 당신의 진정한 모습에 대해서 알아듣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러니 눈을 크게 뜨고 귀를 활짝 열고 복음을 바라보아야 할 터이다. 그리스도를 그분 스스로 선포하시는대로 자유롭게 풀어드리자!

I am pretty much sure that Peter and his fellow brothers followed Jesus with their own image of the Messiah. I also have my own idea of who Jesus is or should be. But more recently I came to think that Jesus is always greater than my defintion of him. No matter how hard I try to describe him, he is always much more than what human words and ideas can contain. Maybe I am 'imprisoning' him into my own prejudice and therefore I am deaf and blind to his true image? So, I have to keep my eyes and ears wide open unto the Gospel. Let us free our Christ and receive him as he himself proclaims!

- 사진 설명: 독일 Merseburg 성당의 십자고상

- Photo: Cruxifix in the Church of Merseburg, Germany

루카 복음 9,20-22

예수님께서 다시,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하시자, 베드로가 "하느님의 그리스도이십니다."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그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엄중하게 분부하셨다.

예수님께서는 이어서 "사람의 아들은 반드시 많은 고난을 겪고 원로들과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에게 배척을 받아 죽임을 당하였다가 사흘 만에 되살아나야 한다." 하고 이르셨다.

Luke 9,20-22

"But what about you?" he asked. "Who do you say I am?" Peter answered, "The Christ of God."
Jesus strictly warned them not to tell this to anyone.

And he said, "The Son of Man must suffer many things and be rejected by the elders, chief priests and teachers of the law, and he must be killed and on the third day be raised to life."

Wednesday, 7 April 2010

예수님의 미소, 천안함 장병들을 위해 - Smile of Jesus, for the sailors of the Corvette Cheonan

강건너편으로 가기 위해 배에 오른 제자들과 예수님. 예수님께서는 풍랑 속에서 두려워 하는 제자들을 두고서 편안하게 단잠을 즐기셨다. 아마도 부드러운 미소를 띠면서 주무시고 계시지 않았을까. 그분은 무슨 꿈을 꾸고 계셨을까. 그분은 무엇을 믿고 계셨을까.

Jesus and his disciples on board a ship bound for another side of the lake... Jesus was enjoying a deep sleep while the disciples were being scared to death in the middle of a windstorm. I assume he was sleeping with a smile on his face. What was he dreaming about? What was it that he was so sure about?

스페인의 하비에르 성에는 미소 띤 십자고상이 있다고 한다. 폭풍우가 몰아치는 뱃전에서 느긋한 잠을 주무셨다는 대목에서 문득 그 십자고상의 예수님이 떠오른다. 사지가 녹아드는 고통에 처하신 예수님의 얼굴에 미소가 떠오른 까닭은 무엇일까. 그런 예수님 얼굴을 조각한 사람의 마음엔 무엇이 서려 있었을까.

In Xavier Castle in Spain, there is a Cruxifix with a smile. I saw the photo of it once. These Lukan passages remind me of the smiling Jesus in the castle. Why was he smiling when he was actually going through terrible sufferings on the cross? What was on the sculptor's mind when he was carving it?

천안함 침몰로 많은 사람들이 슬퍼하고 있는 요즈음. 아까운 젊은 나이에 서해 바다에서 목숨을 잃은 젊은 장병들이 미소 띤 예수님과 함께 이제는 편안한 잠을 이루고 있기를 삼가 기도 올려본다.

These days in Korea, many people are mourning for the deaths of the navy soldiers who lost their lives in the sunken Corvette Cheonan, which was exploded and sank in unexplained circumstances off Baengnyeong Island in the West sea. I hope that these young sailors could rest at peace now with Jesus in Heaven. My sincere prayers and heartfelt condolences for their soul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루카 복음 8,22-25]

어느 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배에 오르시어 그들에게, "호수 저쪽으로 건너가자." 하고 이르시니, 그들이 출발하였다. 그들이 배를 저어갈 때에 예수님께서는 잠이 드셨다. 그 때에 돌풍이 호수로 내리 몰아치면서 물이 차 들어와 그들이 위태롭게 되었다. 제자들이 다가가 예수님을 깨우며, "스승님, 스승님, 저희가 죽게 되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깨어나시어 바람과 물결을 꾸짖으시니, 곧 잠잠해지며 고요해졌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너희의 믿음은 어디에 있느냐?"하셨다. 그들은 두려워하고 놀라워하며 서로 말하였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물에게 명령하시고 또 그것들이 이분께 복종하는가?"


[Luke 8,22-25]

Now on one of those days Jesus and His disciples got into a boat, and He said to them, "Let us go over to the other side of the lake." So they launched out.
But as they were sailing along He fell asleep; and a fierce gale of wind descended on the lake, and they began to be swamped and to be in danger.
They came to Jesus and woke Him up, saying, "Master, Master, we are perishing!" And He got up and rebuked the wind and the surging waves, and they stopped, and it became calm.
And He said to them, "Where is your faith?" They were fearful and amazed, saying to one another, "Who then is this, that He commands even the winds and the water, and they obey Him?"

Saturday, 3 April 2010

빈 무덤 - The empty tomb

요한 복음 20,1-18



빈 무덤은 예수님의 부활 사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 이미지는 조용하고 잔잔하면서도 사뭇 형언못할 힘을 지니고 있다. 마치 광풍처럼 몰아쳤던 수난 사건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지치고 무기력에 빠진 이들을 위로하듯 잔잔한 평화 가운데 부활 사건이 전개되듯이 말이다.

허나 비록 빈 무덤이 부활을 암시하고는 있으되, 이제 무덤 밖으로 나가서 복음을 살고 선포하지 않으면 예수님의 부활은 아직 내 삶에서 완성되지 않은 것일런지도 모른다. 예수님은 다볼 산에서 초막을 짓고 주저앉고 싶어하던 베드로에게 '이제 내려가자'고 하셨더랬다. 평온하고 아늑한 빈 무덤에서 '아 그 분이 부활하셨구나'하고 머리로만 깨닫고 있으면, 무덤 밖에서 예수님이 가만 손짓하며 부르시지 않을까. '건동아, 부활한 나는 거기가 아니라 여기에 있단다.'



John 20,1-18

The empty tomb is a symbol of the Resurrection. This image is serene and soft but filled with undescribable power. It is indicated in the events after the Resurrection. The peaceful events of the Resurrection took place even before the memories of the stormy events of the Passion of the Christ died out. The Resurrection consoled those who were tired and discouraged.

However, although the empty tomb might symbolise the Resurrection, His coming alive wouldn't be fully realised in our own life unless we go out, live, and proclaim His Gospel. Jesus once said to Peter who wanted to stay in Mt.Tabor, 'Let us go down'. If I stay sitting in the empty tomb, which looks nice and cozy, and only think about His Resurrection in the head, I suppose Jesus would call me outside the tomb saying, 'Benedict, I am here, not there.'

세족례 - Washing of the feet

요한 복음 13,1-20

헤어짐을 앞두고 손수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시는 당신.
그 날밤 그 자리에 모인 그들의 면면은 얼마나도 다채로운지요.
세리에서 열혈당원까지,
성품이 조용한 이에서 큰소리부터 내지르는 이까지...

그토록 서로 다른 이들이,
다른 일 같았으면 굳이 모일 필요도 없는 이들이,
당신의 따스한 손길 아래 하나로 모였습니다.
오로지 당신을 바라보며 하나로 모여 있습니다.
항상 당신을 따르며 하나로 모여 있을 터입니다.

John 13,1-20

Before the farewell on earth,
you are washing your pupils feet with your own hands.
How different are the faces who gathered there at that night?
From tax collector to Zealot,
from calm-tempered to hot-tempered...

They would not have gathered there,
with such a vast contrast in personal profiles.
Only were they gathered in your warm embrace.
Only are they gathered looking into your face.
Only will they be gathered following your footsteps.

Monday, 29 March 2010

세상의 원리와 영성의 원리 - The principle of the world and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살다보면 합리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면서도 동시에 나의 권리를 지키고 주장해야 할 때가 있다.

There are times when you have to protect your own right as well as respect others' right according to the rational judgements.

그런가 하면 항상 내 뜻대로만은 되지 않는, 내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 그런 수많은 일들을 직면하면서 이를 겸손되이 받아들이고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할 때가 있다.

There are also times when you have to accept those things humbly that happen against your wills and wishes and tr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ose events in your life.

전자가 세상의 원리라면 후자는 영성의 원리라고도 할 수 있을까. 전자가 생활인으로서의 진리라면 후자는 신앙인으로서의 진리일까.

If the former could be called 'the principle of the world', the latter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If the former could function as truth for a living person, the latter as truth for a believing person?

물론 양자가 두부를 자르듯이 산뜻하게 나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자신을 포함하여 각자의 권리를 존중해 주어야 할 때 '겸손한' 희생을 강요한다든지, 불가항력적인 사태 앞에서 자신의 '의로움과 권리'만을 내세우는 것은 각각의 잣대를 서로 다른 차원에 적용하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Obviously no one can divide those two principles nice and sharp as a chef cuts a lump of tofu in two pieces. But it would be quite tragic if one is confused enough not to know when to apply which of the principles: for example, to impose on others the virtue of 'humility and sacrifice' when actually it is more appropriate to respect everyone's equal rights, or to insist upon one's own 'right and righteousness' in front of the inevitable situations in life.

i) 세상의 합리적이고 자연적인 원리를 억압하지 않으면서도 영성의 궁극적인 원리를 놓치지 않는 것, ii) 언제 어떤 원리를 판단의 근거로 삼아야 할지를 아는 것이야말로, 철학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나이를 먹으면서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것이 아닐까.

As we study philosophy and as we grow older, what we get to learn, I believe, is this:
i) not to miss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while not suppressing the rational and natural values of the principle of the world.
ii) to know properly when to apply which of the principles...

Saturday, 27 March 2010

촛불에 관한 묵상 - Meditation on a candle

루카 복음 8장 16절에서 18절까지의 말씀은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에 관한 비유이다. 이 구절을 읽으면서 초(촛불)의 겸손함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1. 초는 자기 스스로 불빛을 만들어 내지 않고 다른 존재로부터 빛을 받아 밝힌다.
2. 초는 자신을 녹이면서 작아지고 작아진다.
3. 초는 다른 초에 불빛을 나누어주지만 그 불빛은 줄어들지 않는다.
4. 촛불은 소리 없이 빛을 비춘다.
5. 촛불은 어둠을 밝히지만 햇빛이 비추어들면 자신의 빛을 주장하지 않는다.

Luke 8;16-18 is a parable on 'obedient listening'. On reading the passages, I came to briefly meditate on humble virtues of a candle(candlelight).

1. A candle does not make its own light but receives it from other being.
2. A candle melts itself away so that it becomes lower and smaller.
3. A candle shares its light to others but the light never gets dimmer.
4. A candlelight sheds its light with silence.
5. A candlelight brightens up the darkness at night, but it never tries to take up the role of the sun in a broad daylight.


[루카 복음 8장 16절 - 18절 / Luke 8;16-18]

아무도 등불을 켜서 그릇으로 덮거나 침상 밑에 놓지 않는다. 등경 위에 놓아 들어오는 이들이 빛을 보게 한다. 숨겨진 것은 드러나고 감추어진 것은 알려져 훤히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 잘 헤아려라.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이 없는 자는 가진 줄로 여기는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No one after lighting a lamp hides it under a jar, or puts it under a bed, but puts it on a lampstand, so that those who enter may see the light. For nothing is hidden that will not be disclosed, nor is anything secret that will not become known and come to light. Then pay attention to how you listen; for to those who have, more will be given; and from those who do not have, even what they seem to have will be taken away.

Friday, 26 March 2010

베들레헴의 밤 Night at Bethlehem

'Nacht über Bethlehem(베들레헴의 밤)’ - David Cawthorne 作
‘Nacht über Bethlehem(Night at Bethlehem)’ by David Cawthorne

David Cawthorne이라는 분은 입으로 그림을 그리시는 화가라 한다.
검푸른 하늘과 땅, 한 점 박혀있는 밝은 별, 그 별빛을 바라보며 걷는 이들 위에 비추어진 불빛... 왠지 그림 속의 신비로운 고요함에 한없이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든다. 무한히 펼쳐진 밤하늘 앞에서는 경외심마저 느껴진다. 목동들과 동방박사들이 별빛을 따라갔듯이 우리들도 각자의 별빛을 따라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림을 한없이 바라보며 생각에 잠기고 싶어진다.

David Cawthorne is a painter who paints pictures with his mouth.
Sky and earth in dark blue, a brightly-shining star in the night sky, lights shone on the people who are looking at the star... When I looked at the painting, I somehow felt like staying in this mysterious feeling of depth and silence. The vast scene of the night sky filled me with awe. As the shepherds and the magi followed the star in the Bible, isn't our life a journey of following the star that shines above our heads? Each of us has our own stars that lead us in our journeys... Again, looking at the painting, I feel like being lost in a deep thought.

Monday, 22 March 2010

너 자신을 알라! Know thyself!

한 동료수사와 점심을 먹고 나오는 길에 카페에 들렀다.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하다가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다. 그 수사님이 어릴 때 어머니로부터 들었던 말씀 가운데서 기억에 남는 것이 '너는 너야! 1등을 하든 2등을 하든 상관없단다!'하는 것이란다.

Today, I had a lunch with a fellow brother. After the meal we went to a cafe to have a cup of coffee. Over the coffee, we talked about this and that. And during the conversation, he mentioned that he still remembered what his mother had told him when he was a child. 'I do not care whether you win the first prize or the second. You are just you!'

각자의 상황과 처지에 따라 다르게 정의내릴 수 있겠지만, 돌이켜보면 사람이 살아가는 것 자체가 진정한 내가 누구인가를 알아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들은 자주 나를 몰라서 위축되거나 나를 몰라서 날뛰거나 하게 되니 말이다.

Maybe it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according to his or her own situation, but I feel that life is a process of getting to know who we really are. Many a time we become shrunk or swollen more than who(what) we are because we do not have a precise notion of our own self.

그런데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수도생활은 나보다 나를 더 잘 아시는 절대자 하느님께 전적으로 '네'하는 대답을 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나누게 되었다. 하느님이 우리에게 제시하시는 길은 분명 생명을 향하는 길일 터인데 우리들은 그것을 죽음을 향해 치닫는 길로 착각하곤 한다. 어느 신부님의 강론 말씀에 따르면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것, 우리의 입장을 완고하게 고집하기 때문이란다.

One step further, we also shared that a religious life is a learning process of saying total 'yes' to God, who knows about us more than we do. Surely the way He presents to us must be directed towards life but we tend to believe it lead to death. According to the homily of a certain Jesuit priest, it is because we do not want to lose the firm grip on 'our' own ideas and positions, just like the headstrong Israelites in the desert.

그에 대한 방책은 예수님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예수님의 시각으로 나와 세상을 바라본다면 그 옛날 소크라테스가 바랬던 진정한 자아상을 성큼 도달할 수 있으렷다.

A possible -perhaps absolute- solution to that problem, suggested by him, was a change of perspective, or to look at the world from Jesus' perspective. If we learn to look at myself and the surrounding world from Jesus' perspective, we would be able to reach the true picture of our self as Socrates once demanded.

Thursday, 11 February 2010

그래도 사람이 먼저 - Human first!





Jub 신부님은 태국 출신으로 캄보디아에서 사목활동을 하고 계신 예수회원이시다. 지금은 Kampong Koh라는 시골 마을에서 지내고 계신다. 마을 사람들과 같은 모습으로 함께 하시는 모습이 예수님을 닮았다.
Fr. Jub is a Jesuit priest. He is originally from Thailand but working in Cambodia now. At the moment, he is doing his pastoral work at a remote town of Kampong Koh. He lives with the villagers following their way of life. The way he lives with them reminds me of Jesus. Maybe Jesus himself might have lived like that.

연못에 빠져 고장난 농기계를 수리하고 계시던 신부님께 그런 시골마을에서 선교활동을 하려면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쭈어 보았다. 아마도 기계를 고치는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유리할 것 같아서였다. 신부님은 의술을 가지고 있다면 참 좋을 것 같다고 하셨다. 기계를 고칠 줄 아는 것도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의료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사람이 아플 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신다. 당연한 대답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망설임 없이 담담하게 건네시는 그 말씀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사람’을 먼저 두는 신부님의 마음이 진하게 느껴졌다.
Once I saw him repairing a machine. It was out of order because it fell into the nearby pond by mistake. There I asked for his opinion on what kind of skills would be ideal for a would-be missionary to have. I assumed that having mechanical skills to repair farming machines would be quite helpful to the villagers. But Fr. Jub told me that medical doctors would be most ideal of all. It is because medical skills help people in need directly. Perhaps his remark is nothing extraordinary. We know that the people in remote villages need doctors. But from his reply, gentle and straight, I could feel his loving heart that puts 'people' first.

물론 누구나 의료기술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어떤 일을 하든지 궁극적으로 사람을 위한 마음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듯 싶다. 설령 그것이 사무실에서 행정업무를 보는 것이라 하더라도 말이다.
It is obvious that not everyone can have a medical degree. But what I realised once again from the conversation with him was that whatever we do we should think of people first. Even if it is a routine office work at a desk...

Wednesday, 10 February 2010

블로그를 시작하며 - Prologue to Cafe Benedict

Cafe Benedict라고 명명한 작은 블로그를 열면서 이 공간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잠시 고민해 보았다. 나는 이 블로그를 알찌게 채울 수 있을 특별한 지식이나 독특한 취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고 다른 이들을 남다른 성찰로 이끌만큼 탁월한 식견이 있는 것도 아니다. 어디선가 사람은 자기가 가진 것만 줄 수 있다고 들었다. 그러니 지식도, 취향도, 식견도 부족한 내가 풍부한 지식과, 취향과, 식견으로 남들 보기에 멋진 블로그를 만들 수는 없으리라.

그런데도 블로그를 꾸미겠다고 덤비는 이유는... 결국 일상 속 작은 일들을 통해 내 마음에 일어난 작은 울림들을 기록하고 표현하면서, 스스로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은 욕심인지도 모르겠다. 누군가에게 말하거나 어딘가에 써 놓지 않으면 아침이슬처럼 사라져 버릴 생각과 느낌의 토막들을...

캄보디아 Battambang을 방문했을 때, 잠시 비어있던 일정을 기해 자전거로 시내 구경에 나섰다. 프랑스가 캄보디아를 점령했을 때, 이곳은 식민통치의 거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시장을 따라 나오니 프랑스 풍의 건물들이 늘어선 지역이 있었다. 특별한 교통신호 없이 사륜차와 이륜차들이 엇갈리는 도로를 따라 나서는 길이 처음에는 겁이 났지만 조금 지나다 보니 요령이 생겨 좌회전이나 우회전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다.

오래간만에 바람을 가르며 자전거 타는 기분이 상쾌했다. 나는 자전거 타는 것이 참 좋다. 모터가 달린 자동차처럼 인위적인 속도를 내는 것은 아니지만, 평범하게 두 발을 걸을 때보다는 좀 더 빨리 달릴 수 있어서이다.

이제부터 이 블로그에 차곡차곡 담을 글들은 자전거 타며 바라보는 세상처럼 평범하면서도 평범하지 않은 나만의 고유한 이야기들이다.



On opening my first blog 'Cafe Benedict', I was wondering what I could write about in this internet space. I do not have expert knowledge or special taste to fill this blog. I do not have insightful eyes to capture the world and influence others, either. Once I heard we can only give to others what we already have. So, if I do not have enough knowledge, taste, and insight, it is impossible to create a blog attractive to the eyes of other people.

The reason I dare to open this blog, though, is because I would like to record and express little ripples in my mind which are stirred by small things in life. So that I could give myself a chance to reflect. Those ripples would evaporate like a morning dew unless written or told somehow.

When I visited Battambang in Cambodia, I went out to the city on a bicycle. Battambang city was the centre of the French colonial rule in the past. Near the central market area, I could see some old buildings in a french style. The city has no proper traffic lights. Various vehicles came and went on their own traffic system. At first, I was a bit scared to wade through the tides of 'disordered' traffic. But soon afterwards, I could see the order disguised in a disorder and freely make a turn left or right.

It was such a refreshing moment to ride a bicycle. It's been quite a while since I rode a bicycle. I love to ride a bicycle. You cannot speed up on a bike as if you drive a car with engines. But you can move faster on it than when you just walk on your two feet. Should I call it 'a comfortable speed'?

The articles in this blog will be stories in my life. Those stories are my own personal reflections which are not so special but also very special as if the world you see on a bike are nothing special but something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