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7 April 2010

예수님의 미소, 천안함 장병들을 위해 - Smile of Jesus, for the sailors of the Corvette Cheonan

강건너편으로 가기 위해 배에 오른 제자들과 예수님. 예수님께서는 풍랑 속에서 두려워 하는 제자들을 두고서 편안하게 단잠을 즐기셨다. 아마도 부드러운 미소를 띠면서 주무시고 계시지 않았을까. 그분은 무슨 꿈을 꾸고 계셨을까. 그분은 무엇을 믿고 계셨을까.

Jesus and his disciples on board a ship bound for another side of the lake... Jesus was enjoying a deep sleep while the disciples were being scared to death in the middle of a windstorm. I assume he was sleeping with a smile on his face. What was he dreaming about? What was it that he was so sure about?

스페인의 하비에르 성에는 미소 띤 십자고상이 있다고 한다. 폭풍우가 몰아치는 뱃전에서 느긋한 잠을 주무셨다는 대목에서 문득 그 십자고상의 예수님이 떠오른다. 사지가 녹아드는 고통에 처하신 예수님의 얼굴에 미소가 떠오른 까닭은 무엇일까. 그런 예수님 얼굴을 조각한 사람의 마음엔 무엇이 서려 있었을까.

In Xavier Castle in Spain, there is a Cruxifix with a smile. I saw the photo of it once. These Lukan passages remind me of the smiling Jesus in the castle. Why was he smiling when he was actually going through terrible sufferings on the cross? What was on the sculptor's mind when he was carving it?

천안함 침몰로 많은 사람들이 슬퍼하고 있는 요즈음. 아까운 젊은 나이에 서해 바다에서 목숨을 잃은 젊은 장병들이 미소 띤 예수님과 함께 이제는 편안한 잠을 이루고 있기를 삼가 기도 올려본다.

These days in Korea, many people are mourning for the deaths of the navy soldiers who lost their lives in the sunken Corvette Cheonan, which was exploded and sank in unexplained circumstances off Baengnyeong Island in the West sea. I hope that these young sailors could rest at peace now with Jesus in Heaven. My sincere prayers and heartfelt condolences for their soul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루카 복음 8,22-25]

어느 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배에 오르시어 그들에게, "호수 저쪽으로 건너가자." 하고 이르시니, 그들이 출발하였다. 그들이 배를 저어갈 때에 예수님께서는 잠이 드셨다. 그 때에 돌풍이 호수로 내리 몰아치면서 물이 차 들어와 그들이 위태롭게 되었다. 제자들이 다가가 예수님을 깨우며, "스승님, 스승님, 저희가 죽게 되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깨어나시어 바람과 물결을 꾸짖으시니, 곧 잠잠해지며 고요해졌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너희의 믿음은 어디에 있느냐?"하셨다. 그들은 두려워하고 놀라워하며 서로 말하였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물에게 명령하시고 또 그것들이 이분께 복종하는가?"


[Luke 8,22-25]

Now on one of those days Jesus and His disciples got into a boat, and He said to them, "Let us go over to the other side of the lake." So they launched out.
But as they were sailing along He fell asleep; and a fierce gale of wind descended on the lake, and they began to be swamped and to be in danger.
They came to Jesus and woke Him up, saying, "Master, Master, we are perishing!" And He got up and rebuked the wind and the surging waves, and they stopped, and it became calm.
And He said to them, "Where is your faith?" They were fearful and amazed, saying to one another, "Who then is this, that He commands even the winds and the water, and they obey Him?"

Saturday, 3 April 2010

빈 무덤 - The empty tomb

요한 복음 20,1-18



빈 무덤은 예수님의 부활 사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 이미지는 조용하고 잔잔하면서도 사뭇 형언못할 힘을 지니고 있다. 마치 광풍처럼 몰아쳤던 수난 사건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지치고 무기력에 빠진 이들을 위로하듯 잔잔한 평화 가운데 부활 사건이 전개되듯이 말이다.

허나 비록 빈 무덤이 부활을 암시하고는 있으되, 이제 무덤 밖으로 나가서 복음을 살고 선포하지 않으면 예수님의 부활은 아직 내 삶에서 완성되지 않은 것일런지도 모른다. 예수님은 다볼 산에서 초막을 짓고 주저앉고 싶어하던 베드로에게 '이제 내려가자'고 하셨더랬다. 평온하고 아늑한 빈 무덤에서 '아 그 분이 부활하셨구나'하고 머리로만 깨닫고 있으면, 무덤 밖에서 예수님이 가만 손짓하며 부르시지 않을까. '건동아, 부활한 나는 거기가 아니라 여기에 있단다.'



John 20,1-18

The empty tomb is a symbol of the Resurrection. This image is serene and soft but filled with undescribable power. It is indicated in the events after the Resurrection. The peaceful events of the Resurrection took place even before the memories of the stormy events of the Passion of the Christ died out. The Resurrection consoled those who were tired and discouraged.

However, although the empty tomb might symbolise the Resurrection, His coming alive wouldn't be fully realised in our own life unless we go out, live, and proclaim His Gospel. Jesus once said to Peter who wanted to stay in Mt.Tabor, 'Let us go down'. If I stay sitting in the empty tomb, which looks nice and cozy, and only think about His Resurrection in the head, I suppose Jesus would call me outside the tomb saying, 'Benedict, I am here, not there.'

세족례 - Washing of the feet

요한 복음 13,1-20

헤어짐을 앞두고 손수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시는 당신.
그 날밤 그 자리에 모인 그들의 면면은 얼마나도 다채로운지요.
세리에서 열혈당원까지,
성품이 조용한 이에서 큰소리부터 내지르는 이까지...

그토록 서로 다른 이들이,
다른 일 같았으면 굳이 모일 필요도 없는 이들이,
당신의 따스한 손길 아래 하나로 모였습니다.
오로지 당신을 바라보며 하나로 모여 있습니다.
항상 당신을 따르며 하나로 모여 있을 터입니다.

John 13,1-20

Before the farewell on earth,
you are washing your pupils feet with your own hands.
How different are the faces who gathered there at that night?
From tax collector to Zealot,
from calm-tempered to hot-tempered...

They would not have gathered there,
with such a vast contrast in personal profiles.
Only were they gathered in your warm embrace.
Only are they gathered looking into your face.
Only will they be gathered following your footsteps.

Monday, 29 March 2010

세상의 원리와 영성의 원리 - The principle of the world and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살다보면 합리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면서도 동시에 나의 권리를 지키고 주장해야 할 때가 있다.

There are times when you have to protect your own right as well as respect others' right according to the rational judgements.

그런가 하면 항상 내 뜻대로만은 되지 않는, 내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 그런 수많은 일들을 직면하면서 이를 겸손되이 받아들이고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할 때가 있다.

There are also times when you have to accept those things humbly that happen against your wills and wishes and tr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ose events in your life.

전자가 세상의 원리라면 후자는 영성의 원리라고도 할 수 있을까. 전자가 생활인으로서의 진리라면 후자는 신앙인으로서의 진리일까.

If the former could be called 'the principle of the world', the latter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If the former could function as truth for a living person, the latter as truth for a believing person?

물론 양자가 두부를 자르듯이 산뜻하게 나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자신을 포함하여 각자의 권리를 존중해 주어야 할 때 '겸손한' 희생을 강요한다든지, 불가항력적인 사태 앞에서 자신의 '의로움과 권리'만을 내세우는 것은 각각의 잣대를 서로 다른 차원에 적용하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Obviously no one can divide those two principles nice and sharp as a chef cuts a lump of tofu in two pieces. But it would be quite tragic if one is confused enough not to know when to apply which of the principles: for example, to impose on others the virtue of 'humility and sacrifice' when actually it is more appropriate to respect everyone's equal rights, or to insist upon one's own 'right and righteousness' in front of the inevitable situations in life.

i) 세상의 합리적이고 자연적인 원리를 억압하지 않으면서도 영성의 궁극적인 원리를 놓치지 않는 것, ii) 언제 어떤 원리를 판단의 근거로 삼아야 할지를 아는 것이야말로, 철학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나이를 먹으면서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것이 아닐까.

As we study philosophy and as we grow older, what we get to learn, I believe, is this:
i) not to miss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while not suppressing the rational and natural values of the principle of the world.
ii) to know properly when to apply which of the principles...

Saturday, 27 March 2010

촛불에 관한 묵상 - Meditation on a candle

루카 복음 8장 16절에서 18절까지의 말씀은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에 관한 비유이다. 이 구절을 읽으면서 초(촛불)의 겸손함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1. 초는 자기 스스로 불빛을 만들어 내지 않고 다른 존재로부터 빛을 받아 밝힌다.
2. 초는 자신을 녹이면서 작아지고 작아진다.
3. 초는 다른 초에 불빛을 나누어주지만 그 불빛은 줄어들지 않는다.
4. 촛불은 소리 없이 빛을 비춘다.
5. 촛불은 어둠을 밝히지만 햇빛이 비추어들면 자신의 빛을 주장하지 않는다.

Luke 8;16-18 is a parable on 'obedient listening'. On reading the passages, I came to briefly meditate on humble virtues of a candle(candlelight).

1. A candle does not make its own light but receives it from other being.
2. A candle melts itself away so that it becomes lower and smaller.
3. A candle shares its light to others but the light never gets dimmer.
4. A candlelight sheds its light with silence.
5. A candlelight brightens up the darkness at night, but it never tries to take up the role of the sun in a broad daylight.


[루카 복음 8장 16절 - 18절 / Luke 8;16-18]

아무도 등불을 켜서 그릇으로 덮거나 침상 밑에 놓지 않는다. 등경 위에 놓아 들어오는 이들이 빛을 보게 한다. 숨겨진 것은 드러나고 감추어진 것은 알려져 훤히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 잘 헤아려라.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이 없는 자는 가진 줄로 여기는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No one after lighting a lamp hides it under a jar, or puts it under a bed, but puts it on a lampstand, so that those who enter may see the light. For nothing is hidden that will not be disclosed, nor is anything secret that will not become known and come to light. Then pay attention to how you listen; for to those who have, more will be given; and from those who do not have, even what they seem to have will be taken away.

Friday, 26 March 2010

베들레헴의 밤 Night at Bethlehem

'Nacht über Bethlehem(베들레헴의 밤)’ - David Cawthorne 作
‘Nacht über Bethlehem(Night at Bethlehem)’ by David Cawthorne

David Cawthorne이라는 분은 입으로 그림을 그리시는 화가라 한다.
검푸른 하늘과 땅, 한 점 박혀있는 밝은 별, 그 별빛을 바라보며 걷는 이들 위에 비추어진 불빛... 왠지 그림 속의 신비로운 고요함에 한없이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든다. 무한히 펼쳐진 밤하늘 앞에서는 경외심마저 느껴진다. 목동들과 동방박사들이 별빛을 따라갔듯이 우리들도 각자의 별빛을 따라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림을 한없이 바라보며 생각에 잠기고 싶어진다.

David Cawthorne is a painter who paints pictures with his mouth.
Sky and earth in dark blue, a brightly-shining star in the night sky, lights shone on the people who are looking at the star... When I looked at the painting, I somehow felt like staying in this mysterious feeling of depth and silence. The vast scene of the night sky filled me with awe. As the shepherds and the magi followed the star in the Bible, isn't our life a journey of following the star that shines above our heads? Each of us has our own stars that lead us in our journeys... Again, looking at the painting, I feel like being lost in a deep thought.

Monday, 22 March 2010

너 자신을 알라! Know thyself!

한 동료수사와 점심을 먹고 나오는 길에 카페에 들렀다.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하다가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다. 그 수사님이 어릴 때 어머니로부터 들었던 말씀 가운데서 기억에 남는 것이 '너는 너야! 1등을 하든 2등을 하든 상관없단다!'하는 것이란다.

Today, I had a lunch with a fellow brother. After the meal we went to a cafe to have a cup of coffee. Over the coffee, we talked about this and that. And during the conversation, he mentioned that he still remembered what his mother had told him when he was a child. 'I do not care whether you win the first prize or the second. You are just you!'

각자의 상황과 처지에 따라 다르게 정의내릴 수 있겠지만, 돌이켜보면 사람이 살아가는 것 자체가 진정한 내가 누구인가를 알아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들은 자주 나를 몰라서 위축되거나 나를 몰라서 날뛰거나 하게 되니 말이다.

Maybe it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according to his or her own situation, but I feel that life is a process of getting to know who we really are. Many a time we become shrunk or swollen more than who(what) we are because we do not have a precise notion of our own self.

그런데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수도생활은 나보다 나를 더 잘 아시는 절대자 하느님께 전적으로 '네'하는 대답을 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나누게 되었다. 하느님이 우리에게 제시하시는 길은 분명 생명을 향하는 길일 터인데 우리들은 그것을 죽음을 향해 치닫는 길로 착각하곤 한다. 어느 신부님의 강론 말씀에 따르면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것, 우리의 입장을 완고하게 고집하기 때문이란다.

One step further, we also shared that a religious life is a learning process of saying total 'yes' to God, who knows about us more than we do. Surely the way He presents to us must be directed towards life but we tend to believe it lead to death. According to the homily of a certain Jesuit priest, it is because we do not want to lose the firm grip on 'our' own ideas and positions, just like the headstrong Israelites in the desert.

그에 대한 방책은 예수님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예수님의 시각으로 나와 세상을 바라본다면 그 옛날 소크라테스가 바랬던 진정한 자아상을 성큼 도달할 수 있으렷다.

A possible -perhaps absolute- solution to that problem, suggested by him, was a change of perspective, or to look at the world from Jesus' perspective. If we learn to look at myself and the surrounding world from Jesus' perspective, we would be able to reach the true picture of our self as Socrates once dem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