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18 December 2014

시메온의 기다림 - The Waiting of Simeon

Simeon with the christ child in the temple by rembrandt

렘브란트가 그린 성전의 시메온을 보면서 묵상해 본다. 평생 주님을 기다린 그는 이미 아기 예수님을 손에 받아 쥐었다. 기다림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아기 예수님은 또다른 기다림의 시작이다. 그분의 수난과 부활의 영광을 향한 기다림. 그러니 기다림은 결실을 맺고 결실은 또다른 기다림의 시작이다. 지금 또한 내가 하느님을 닮은 모습으로 완성될 날을 기다리고 있다. 번번이 다가오는 좌절 속에서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지금 순간 나에게도 아기 예수님이 다가와 계신지 모른다. 나의 기다림이 끝나서가 아니라 계속되는 기다림의 순간 순간에 이렇듯 하느님의 크고 작은 선물이 함께 주시는 것이다. 눈을 크게 뜨고 내게 주시는 선물을 식별할 있어야겠다.

Friday 28 November 2014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and Being Awake: A Humble Homily on Lk 21,29-33


My 'first' homily in the community in London. To remind myself of the things I reflected, I would like to share this humble homily in my blog...


“Look at the fig tree and all the trees” Our Lord says.

When I hear these words, I think of the cherry trees in our back garden. Last April, I saw dashing white cherry blossoms on the trees. And soon afterwards in summer, I saw fresh green leaves on them. And soon afterwards now in autumn, I see red and yellow leaves and the trees are shedding their leaves one by one. Sooner or later, we will see barren branches like the end of the world.

This week is the last week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Church calendar. We have been reading the passages from Apocalypse as our first reading these days. And the Gospel also bears this atmosphere of immediacy and urgency before the end of the times. In fact, today’s passage is a part of what the biblical scholars call ‘eschatological discourse’ of Jesus during his Jerusalem ministry before the Passion.

This passage is located between the two passages. One that is before today’s passage is about the signs of the times. It says ‘There will be signs in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and on the earth distress among nations confused by the roaring of the sea and the waves’.

Another one that comes next to today’s passage is about being awake. It says ‘Be on guard so that your hearts are not weighed down with dissipation and drunkenness and the worries of this life, and that day catch you unexpectedly, like a trap’. I think today’s passage is closely connected to these two themes.

Let me talk about the first one, about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or we can also put it as ‘discernment’. It reminds me of the contemplation of the Holy Trinity in the Second week of the Spiritual Exercises. The Three Persons look at the world: people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different backgrounds, and different situations… And after looking at them, the Son decides to come down to us in person, the Incarnation! The Holy Trinity’s contemplation bears fruit as a divine action of being incarnate on earth.

Now, I would like to mention my second point, about ‘being awake’. I think being awake can mean to be constantly conscious of standing in front of God. In other words, it can mean that we do not forget God is watching over us. For some, it may sound as if God plays a policeman controlling and judging every single act of our life. But more proper analogy, I believe, would be God like a mother always being alert of her baby and watching over the baby to give protection from any harm.

About this image of standing in front of God, I also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a very powerful image from a Danish philosopher, Søren Kierkegaard, from his book ‘The Sickness unto Death’. Let me quote from the book.

 “A herdsman who (if this were possible) is a self only in the sight of cows is a very-low self, and so also is a ruler who is a self in the sight of slaves -- for in both cases the scale or measure is lacking. The child who hitherto has had only the parents to measure himself by, becomes a self when he is a man by getting the state as a measure. But what an infinite accent falls upon the self by getting God as a measure!” 

Yes, we are what we allow ourselves to be. If we do certain things just because we are told to do so, once the things are done, they cannot change us anymore. But, if we do something, thinking that we are doing this because we love God, because we know God is looking at us with his love and mercy, then I believe what we do can transform us, and we become who and what God wants us to be beyond our wildest imagination.

So, first,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or discernment… and second, being awake or remembering standing in front of God… These two things are what I think Jesus’ message for us today. And what is significant for me is that in both themes, we can see that the contemplation leads to action. Therefore, the messages of Apocalypse in our Christian belief should not be despair and passive resignation but rather should be actions based on contemplation and discernment.

Finally, “Heaven and earth will pass away, but my words will not pass away” says Our Lord. White cherry blossoms, then green leaves, and then red and yellow leaves, and now fallen leaves… They never fail to change, but that passing itself seems to reflect the never-changing truth of God. The lonely and dark winter is only waiting for the life-giving moment of the spring. The words of our Lord, stronger and more stable even than heaven and earth… I think nothing can be more assuring than this in this day and age of uncertainty…

Sunday 23 November 2014

그리스도왕 대축일 (마태 25,31-46) - Christ the King (Mt 25,31-46)

성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성당, 리버풀
St. Francis Xavier Church, Liverpool

오늘은 연중 마지막 주일인 그리스도왕 대축일.
미사 강론 서두로 주례 신부님께서 갑자기 우주의 역사와 크기에 대한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말씀하셨다. 뜬금없는 말씀인가 싶었는데, 신부님의 뜻은 우주 만물의 왕이신 그리스도를 이야기하시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분은 그저 모든 것을 주재하시는 '왕'인 것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이시기에 우리 각자에게 개인적으로도 오시는 분, 우주의 신비가 큰 만큼 우리들 각자의 신비도 더할 나위 없이 장엄하다는 것... 그리고 그분께 감사드리는 마음을 말씀하신다. 제단 뒤로 높이 걸려 있는 십자고상을 보며 가만히 감사하다고 말씀드려 보았다. 언젠가, 아무런 단서 조건 없이 오롯한 감사의 마음을 드릴 날이 올 수 있을까? 그것을 위해 일상을 사는 것이고 영적인 수행을 하는 것이다.
Today is the last week of the ordinary time in Church calendar: Christ the King.
At the start of his homily, the father suddenly spoke about scientific facts about the age and size of the universe. I was wondering why he said those things and it turned out that he was emphasising Christ is the King of everything in the universe. At the same time, He is not only 'the King' who governs the world but also 'the Christ' who personally comes to each one of us. As much as the mystery of the universe is profound, the mystery of our individual human person is also majestic, he says. And he encourages us to say thanks to God. Looking at the crucifix hung above the altar, I whispered a thank-you to Him in my heart. Can I say someday a thank-you to Him unconditionally? I live my daily life and perform spiritual exercises for that.

오늘 복음 말씀은 흔히들 마태 복음에서 '최후의 심판'을 떠올리는 부분이다. 다시금 읽으면서 눈에 들어오는 것은, 의로운 이들이나 그렇지 못한 이들이나 자신들이 한 일, 혹은 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좋은 일을 했다고 해서 그것을 행한 자신을 크게 생각하지도 않고, 좋은 일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런 일을 할 기회를 생각하지도 않는다. 결국 덕 윤리학에서 이야기하듯이 매 순간 순간을 복음의 가치에 기초해서 살아가려는 노력이 어느 새 제2의 천성이 되어버리면 굳이 의로운 일과 자비를 베풀었다고 해서 우쭐대거나 스스로를 높이 살 것도 없이 될 것이다. 또한 복음의 가치가 삶에 스며들기보다는 그저 남들에게 보이기 위해서, 혹은 마지못해 규율을 따르는 것에 불과하다면 굳이 의로운 일과 자비를 베풀 기회를 나서서 찾지도 않을 것이고 그런 행위를 하지 않은 것을 의식하지도 못할 것이다.
Today's gospel is a part in Matthews which people often associate with the Last Judgement. Reading the passage again, what strikes me is that whether the righteous or not, both of them are not conscious of what they did or did not do. Neither do the righteous think highly of themselves because of their good deeds, nor the evil think about the lost opportunities in which they could've performed acts of goodness. After all, as virtue ethics stresses, if our efforts to live out the gospel values become our second nature, we wouldn't boast about our righteous and merciful deeds. On the other hand, if the gospel values are just for a show or become an external rule, we wouldn't bother to look out for the opportunities to do something righteous and merciful, let alone are conscious of them.

예수께서는 당신의 형제자매들인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베푸는 행위가 곧 당신께 베푸는 행위라고 하신다. 이들 가장 작은 이들은 누구일까. 복음이 참으로 내 삶의 방향타가 되려면 복음 말씀이 가리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매 번 내 삶 속에서 새롭게 찾아야 할 것이다. 반드시 눈에 띄게 소외되고 있는 이들만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하느님 복음의 빛 안에서 평온을 누리지 못하고 삶의 무게에 짓눌려 남몰래 신음하는 이들도 세상 앞에서 한없이 작아진 이들이다. 그런 만큼 가깝고 먼 곳의 이웃들이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귀기울여 들을 줄 알아야겠다. 그 길은 곧 '나' 자신만의 틀을 벗어나 주님을 내 삶의 중심으로 모시는 길이다.
Jesus says the deeds done to 'one of the least of them', who are His brothers and sisters, are done to Him. Who are these 'least people' in my life? If the gospel is to be rudder and compass of my life, I have to see with a new perspective what it says means in my life. Maybe, those least people are not only those who are explicitly excluded from the society but also those who are suffering inwardly under the heavy burden of life without peace. Then I have to be more careful to listen to those inner cries of my neighbours far and near. That is the way to get out of my shell of 'ego' and serve the Lord in the innermost sanctuary in my heart.

Tuesday 14 October 2014

자유 Freedom

Redemption - Anglican Cathedral, Liverpool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러니 굳건히 서서 다시는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갈라 5:1 성경)

When Christ freed us, he meant us to remain free. Stand firm, therefore, and do not submit again to the yoke of slavery. (Gal 5:1 Jerusalem Bible)

For freedom Christ has set us free. Stand firm, therefore, and do not submit again to a yoke of slavery. (Gal 5:1 NRSV)

Zur Freiheit hat uns Christus befreit. Bleibt daher fest und lasst euch nicht von neuem das Joch der Knechtschaft auflegen! (Gal 5:1 EIN)

닉 신부님은 강론 중에 제1독서의 말씀을 인용하시면서 바오로 사도께서 짧은 표현 안에 진국을 담아내었음을 말씀하셨다. 신부님 말씀은, 우리에게 이미 주어진 자유, 그리스도께서 이미 마련해 주신 자유를 살아내는 것은 마치 훌륭한 군인과도 같이 굳건히 서서 종살이로 물러나지 않는 것이라는 것. 훌륭한 군인과 그렇지 못한 군인은 과연 적 앞에서 굳건히 설 수 있는가 아닌가에 달려 있는 것이라는 것. 아무리 힘이 세고 능력이 있는 군인이라도 용병이라면 최후의 순간에 목숨을 구하고자 도망을 치겠지만 자신의 도시를 지켜내려는 충정을 가진 군인이라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꿋꿋하게 맞서 싸울 것이니 말이다.
특히나 전례 때 읽는 예루살렘 성경으로 읽고 그것을 신부님의 강론 말씀으로 들으니 바오로 사도가 이를 말하면서 전하고자 한 간곡한 심정이 강하게 전달되는 것 같다. 자유는 이미 주님께서 나를 위해 성취해 주신 것인데 어째서 그리도 자주 용기를 잃고 포기하게 되는 것인지... 갈라디아 서의 이 말씀은 주님의 모상으로 지음받고 그분의 자녀로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가 우리의 현실로서 살아내어야 하는 주옥같은 말씀으로 삼아야 할 일이다. 자유는 다른 누구에게 구걸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끝간데 없이 깊은 사랑 속에 당신의 수난과 고통으로 우리를 위해 마련하여 주신 것이고 이미 우리는 자유인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Sunday 12 October 2014

성령을 입자 (마태 22,11-14) - Let us put on the Holy Spirit (Mt 22,11-14)

Metropolitan Cathedral of Christ the King, Liverpool

임금이 손님들을 둘러보려고 들어왔다가, 혼인 예복을 입지 않은 사람 하나를 보고, '친구여, 그대는 혼인 예복도 갖추지 않고 어떻게 여기 들어왔나?’ 하고 물으니,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임금이 하인들에게 말하였다. ‘이자의 손과 발을 묶어서 바깥 어둠 속으로 내던져 버려라. 거기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다.’ 사실 부르심을 받은 이들은 많지만 선택된 이들은 적다.” (마태 22,11-14)

악한 이든 선한 이든 가리지 않고 모두를 잔치에 초대하셨다고 하면서 예복을 입지 않은 이를 어둠 속으로 내쫓아 버리시는 하느님을 나는 이해할 수가 없었다. 마음이 악해도 잔치에 들여보내지지만 그깟 예복을 입지 않았다고 내쫓기다니, 외적인 것보다 내면을 들여다 보신다는 하느님께서 이러셔도 되는 것일까? 그런데 생각해 보면, 예복을 그저 외적인 것으로 치부할 수만은 없겠다. 내 생각에, 하느님께서는 모든 이들을 부르시면서 각자에게 입고 올 예복을 주셨을 것 같다. 그 예복은 하느님 안에서 기쁨과 은총을 누릴 마음가짐에서 우러나오는 외적인 표현을 달리 말한 것일 뿐이다. 그 마음가짐이 없다면 천상의 잔치에 초대받는대도 하나 기쁠 것이 없을 것이다. 오히려 그 마음가짐이 없는 이는 어둠 속에서 이를 갈며 우는 심정만 느낄 것이다. 하느님의 은총을 깊이 느끼고 그에 진정으로 동참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마음가짐은 우리 힘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 역시 하느님의 은총으로 성령을 통해 주어지는 것이다. 바로 혼인 예복처럼 말이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선 제자들에게 '성령을 받아라(요한 20,22)'라고 하셨다. 그리고 바오로 사도는 '열성이 줄지 않게 하고 마음이 성령으로 타오르게 하며 주님을 섬기십시오(로마 12,11)'하며 권고하고 계시다. 이미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성령을 주셨고, 그 성령을 입고 내 안에서 살아내는 것은 각자의 몫인 것이다.
천상 잔치에 초대 받은 우리. 나는 천성상 잔치를 즐길 줄 모르지만, 성격에 구애받지 않고 진정 하느님의 생명을 누리며 천상의 잔치를 즐기려면 우리에게 불어 넣어 주시는 성령을 받아 모셔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분께서 나의 마음 속에 타오르시도록 해 드려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천상 잔치에서마저도 어둠 속에 홀로 서 있는 것과 다름 없고 말 것이다.

Saturday 27 September 2014

베네딕도 성인 St Benedict

St Benedict enthroned with saints (part)
- by Giovanni Mazone (active 1453-1510)
Walker Art Gallery, Liverpool

내가 존경하고 사랑하는 베네딕도 성인. 사람이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 없이는 얼마나 깊은 수렁에 빠져서 허우적댈 수 있는지, 얼마나 짙은 어두움에 신음하게 되는지 스스로 깊이 아셨을 분. ‘수도규칙서’를 쓰셨다는 이유로 자칫 딱딱하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얻으셨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그분이 사람이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신 따뜻한 분이었을 거라고 믿는다. ‘규칙’은 인간의 나약함과 위대함을 동시에 아는 성인께서 우리를 위한 길잡이로 쓰셨을 터이다.
St Benedict, whom I deeply respect and admire. He must have known how dark and miserable man can be without the love and grace of God. Since he is known for his ‘Rules’, I am afraid he is sometimes unduly seen as cold and authoritarian for some. But, I firmly believe that he must be a man of warm heart who truly understood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 His ‘Rules’ must be a guide for us.

이 그림의 베네딕도 성인은 사사로운 감정을 넘어선 듯 하면서도 당신을 따라 하느님을 향해가는 순례자들을 사랑과 인자의 마음으로 바라보고 계시는 듯하다. 참된 거룩함을 추구한 삶을 살다보면 삶의 끝자락에서 하느님을 닮은 모습을 얻게 되는 것일까…
In this painting, the saint seems to have overcome any excessive emotions. Instead, his eyes are gazing at us, pilgrims on earth, with calm love and gentleness. After a life of genuine holiness, can I dare to say that his face finally comes to resemble his Maker, God the Father?


성 안나와 천사가 함께 한 성 가정 The Holy Family with St Anne and an Angel

The Holy Family with St Anne and an Angel
- by Jacob Jordaens (1593-1678)
Walker Art Gallery, Liverpool

이 그림 앞에서 발길을 멈추고 한참 들여다 보았다. 이상하게도 오래 들여다보고 싶은 느낌이 들었다. 다른 유명한 고전 화가들이 묘사한 성모님과 아기 예수님은 대체로 우아하고 아름다운데, 사실 이 그림에 담긴 성모님과 아기 예수님의 모습은, ‘못생기셨다’고 하기는 좀 죄송스럽고, ‘그닥 아름답지는 않으시다’고나 할까… 청초하고 아름다운 성모님, 순수하고 귀여우면서도 품위를 지닌 아기 예수님…이 아니라 옆집 수더분한 젊은 처자와 묵주를 만지작거리다가 뭔가 관심이 가는지 입을 벌리고 눈을 올려 든 평범하고 퉁실퉁실한 아기다. 우측 상단 배경에서 뒤늦게 뛰어들어 포즈를 잡는 듯한 동네 젊은이. 날개가 없었더라면 천사인지 모를 뻔했다.
In front of this painting, I stopped and stood still for a good while. It had a certain indescribable charm. Usually, Mary and Baby Jesus by other famous classical painters’ brush are more beautiful and elegant. In contrast, the Mary and Baby Jesus in this painting are ‘not so pretty’, if not ‘ugly’. Mary is not necessarily depicted as a pure and beautiful lady. Jesus is not so cute or dignified, either… Instead, we see a young, ordinary woman from next door and a chubby curious baby holding a rosary. I could have almost missed that the young man at the background was an angel, if there were no wings.

별로 ‘아름답지’는 않은데, 왠지 모르게 물끄러미 한없이 바라보게끔 하는 그림이다. 나자렛에서 예수님을 키우던 성모님은 비너스처럼 아름답고 범접 못할 도도한 여인이 아니라 그냥 편하게 다가서서 사는 얘기를 나눌 수 있는 그런 이웃집 젊은 엄마 같은 분이셨겠다 싶다. 예수님도 무슨 신기가 들린 애늙은이가 아니라 울고 떼쓰고 신기한 것에 눈을 못 떼는 평범한 아기의 모습을 하셨겠다 싶다. 그래서 이 분들이 더 친근하고 더 편안하게 느껴지나보다…

Well, not so ‘beautiful’ in a conventional sense, but I am somehow attracted to the painting. Looking at it, I get to think that Mary in Nazareth was not a Venusian figure with aloof and detached attitude or Child Jesus was not a precocious prodigy. They must have been friendly everyday family next door with whom I could share my life story… Most probably, that’s why I feel so close to this holy family…

아담과 이브 - Adam and Eve

Arthur George Walker(1861-1939) – Adam and Eve
Walker Art Gallery, Liverpool 

지금까지 아담과 이브를 묘사한 그림들은 많이 봤지만 조각을 본 것은 처음이다. 조각상이기에 내게 상대적으로 낯선 이 작품은 관람자로 하여금 유독 아담과 이브의 눈을 바라보게 하는 것 같다. 선악과를 따먹고 막 눈이 트인 이 두 사람. 홍채를 파낸 조각가의 솜씨가 남긴 두 사람의 눈은 휑한 공허함으로 가득하다… 하느님의 사랑이 주던 안락함에서 벗어나 처음 ‘죄’의 현실과 그것이 초래한 결과를 대면한 인간의 눈은 두려움으로 녹아 내린 공허함인가…
I have seen many paintings depicting Adam and Eve. But rarely did I see a sculpture of them. Therefore this sculpture is quite new to me. Apart from that, this sculpture draws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to the eyes of Adam and Eve. It is the moment right after they ate the fruit of knowledge. This opened their eyes. The sculptor carved out their iris and now their eyes are full of emptiness… Perhaps the first man and woman had to leave the comfort of God’s love and when faced with the reality and results of the sin, their eyes were filled with emptiness caused by fear.

그런데 그 다음으로 눈이 가는 곳은 이브와 아담의 손이다. 이브는 온 몸을 휩싸는 두려움 앞에서 남편 아담의 손을 꼬옥 쥐고 있다. 그런데 아담은 마치 무엇인가를 붙잡고 싶은데도 달리 쥘 곳이 없는 듯한 손을 허리 아래로 내리고 있다. 
And next, the audience’s attention is led to the hands of Adam and Eve. Seized with fear, Eve is holding - or almost squeezing - her husband’s hand. But Adam, though apparently wishing to find something to hold, drops down his empty left hand under his waist.

작가는 죄를 짓고 그 결과를 대면하는 공포와 공허의 순간을 포착했다. 그리고 이는 아담과 이브의 눈과 아담의 손에서 잘 드러난다. 하지만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은 바로 그 다음 단계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브는 아담의 손을 부여잡지만 아담은 포기한 듯 힘이 들어간 손을 하릴없이 그저 허리 아래로 내리고 있다. 만약 그가 손을 들어 하느님을 찾았더라면? 하느님은 그 따스한 손을 내밀어 나약하고 헐벗은 인간을 위로해 주시지 않았을까? 아담의 망설임 덕분에, 인간은 하느님의 외아들 예수가 인간이 되어 우리 가운데로 오시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The sculptor captures the moment of fear and emptiness where the first humans commit a sin and face its consequences. And their eyes and hands tellingly show it to that effect. However, I think the truth of Christianity comes at the next move. While Eve is holding Adam’s hand, Adam is lowering down his hand as if he gives up any hope of finding something or someone to hold. But what if he lifted up his hand and sought for God? Wouldn’t God have extended his warm hands towards these vulnerable humans and consoled them? Thanks to Adam’s hesitations, humans had to wait for a long time for the coming of Jesus, the only son of God, among us.

그러나 동시에 아담의 손을 부여잡은 이브의 손은 우리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 준다. 두려움과 공허함의 그 순간에도 인간이 인간의 손을 잡을 줄 알 때에, 그리고 맞잡은 손이 하느님을 향해 갈 수 있을 때, 용서가 있고 치유가 있고 화해가 있고 평화가 있고 진리가 있는 것이리라…
But, at the same time, Eve’s hand – the hand that is holding Adam’s – gives us a message of hope. Even in the midst of fear and emptiness, if a human can hold another human’s hand, and if their holding hands can be lifted up to God, there will be found forgiveness, healing, reconciliation, peace and truth.

악의 평범성 The Banality of Evil - Lk 9,43-45

악의 평범성 - 루카 9,43-45에 대한 단상



그때에 사람들이 다 예수님께서 하신 모든 일을 보고 놀라워하는데,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이 말을 귀담아들어라. 사람의 아들은 사람들의 손에 넘겨질 것이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 말씀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그 뜻이 감추어져 있어서 이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들은 그 말씀에 관하여 묻는 것도 두려워하였다.
While everyone was amazed at all that he was doing, he said to his disciples, "Let these words sink into your ears: The Son of Man is going to be betrayed into human hands." But they did not understand this saying; its meaning was concealed from them, so that they could not perceive it. And they were afraid to ask him about this saying.

어젯 밤에 본 영화 '한나 아렌트'에서 아렌트는 생각을 멈출 때 얼마나 커다란 악이 자행될 수 있는지를 역설했다. 더 큰 맥락을 놓친 때, 아니 내려 놓은 채, 자기 자신에게 모든 생각이 집중되고 타인과 사회 전체를 바라보는 것을 거부하며 소시민적으로 살아가는 태도. 짐짓 무해한 듯이 보이는 듯한 이 태도가 자칫하면 거대한 악과 결부되어 개인이 그 악의 톱니바퀴로 전락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I saw the movie 'Hannah Arendt'. In the movie, Arendt stressed how a great evil could be perpetrated if thinking stops. My understanding is that a seemingly harmless attitude of Kleinbürger, who does not care about the bigger context of his surrounding society and environment, and who concentrates all his 'thoughts' on himself can make a person a mere cog that functions for a greater evil.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문득 예수님께서 왜 당신이 인간들에게 '배신'당하실 것에 대해 이토록 강조하실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이어서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이 떠오르면서, 인간이 예수님을 거부하는 것이 단순히 적극적인 결심에 의한 선택인 것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악을 행하려는 의도를 통해서 예수님을 의도적으로 거부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우리 내부에 깊이 자리한 악의 뿌리깊은 속성이 예수님을 거부하게 만드는 '필연성'마저 낳는 것은 아닐까 싶었다. 인간의 죄성은 결코 심오할 수 없는 '평범성' 때문에라도 '심오'한 것이 되고 말았다... 예수님은 우리의 의식적인 노력만으로 쉽게 극복할 수 없는 죄성을 통찰하신 것이리라.
Reflecting on today's Gospel, I was wondering why Jesus stressed so strongly on human's 'betrayal' towards him. Then the phrase, 'the banality of evil' coined by Arendt, came to my mind and I thought the human betrayal to Jesus was perhaps not meant to be something conscious and intentional. We, humans, betray Jesus perhaps not out of our conscious choice but due to a certain 'necessary condition' caused by the Fall. This deep-rooted sinfulness... Our sinfulness is deep and persistent because of its banality... Jesus was insightful of our sinfulness which is too overwhelming for our own attempt to overcome it.

하지만, 그러한 지적에 그치고 만다면 결코 복음일 수 없다. 과연 말씀이신 예수님 당신이 우리에게 오신 것 자체가 복음이다. 인간이 당신을 거부할 것을 아시면서도 예수님은 오셨다. 평범하고 '찌질한' 악의 힘이 당신을 거부하고 농락할 것을 아시면서도 예수님은 오셨다. 그것은 사랑이다. 당신 스스로를 약하고 상처받을 존재로 내려 놓으시면서 악의 한 가운데로 오신 사랑. 그리고 그 사랑은 점차 인간을 죄성에서 구해 주시어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주실 터이다.
However, if that is the end of the story, it cannot be a 'Good News'. The fact that Jesus, the Word of God, came to us is already a Good News. Jesus came in the full knowledge of the eventual betrayal from the human beings. He came to us in the full knowledge of banality and cowardice of the power of evil which will deny and ridicule him. That is LOVE. A love that sets himself down as a vulnerable being. And that love would soon save humanity from the sinfulness and bring us back to our genuine self as Imago Dei.

우리가 예수님의 삶과 죽음과 부활을 통해서 구원을 받는다면, 그리고 동시에 예수님의 사명을 위해서 파견받는다면, 나 역시 거부당하고 무시당하고 상처받는 곳으로, 나의 갈릴래아로, 주님께서 부르시는 곳으로 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느님께서 그를 위해 몸과 마음을 준비시켜 주실 것임을 믿으면서.
If we are saved by Jesus through hi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re sent on his mission, I must also be able to go to my 'Galilee', where I have to risk being denied, ignored, and ridiculed. To be able to go on a mission where God calls me, I believe he will prepare myself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