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15 September 2010

고마운 선풍기 - Thank you, Electric Fan!

호들갑스레 무덥던 여름의 끝자락이
성큼 다가서는 가을의 발걸음에 부대끼는 날들이다...
The remaining heat of the last summer is lingering
at the footsteps of the upcoming autumn.

원래 선풍기도 잘 틀지 않는 성격인데
올 여름은 선풍기를 참 요긴하게 썼다.
녀석은 간신히 팬이 돌기는 하지만 오래 되어 놔서 많이 헐었다.
그래도 아직은 제 구실을 톡톡히 한다.
I do not turn on electric fans usually,
but this summer, I used my fan many times.
Such a hot summer it was.
The fan is working but quite old and even a bit broken.
Still, it is okay.

선풍기를 켤까 말까 버튼을 누르다가...
문득 여름 한 철을 함께 한 선풍기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이제 더 서늘해지면 이 녀석도 창고에 들어가고 말겠지...
사람의 인연처럼 사물들과도 인연이 끝나면 헤어지는 법인가.
나도 내 할 일을 다하면 미련없이 돌아갈 수 있을까...
Today, while I was putting my hand on the fan's button
undecided whether to turn it on or not,
I stared at the fan with fixed eyes.
When the weather gets more chilly, it will go back to the store room.
Like with human beings, there is a time to depart with an inanimate object?
Can I also leave without any regret after I finish my job on earth
as if I have to say good-bye to my fan soon?

Saturday, 4 September 2010

연민 - Compassion

어느 순간 우리들 모두가 참 불쌍한 존재들이라고 느낀 적이 있는가? 각자 열심히 살아가지만 사람의 탓이든 하늘의 뜻이든 일이 잘 풀리지 않거나 갖가지 고뇌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이랄까?
Have you ever felt that we are pitiful beings? Although each of us does our best, either by human or by heaven, it happens that things are not going well and that we undergo loads of agonies. Humans are destined that way?


예수님은 십자가 처형을 앞두고 이 땅에 두고 갈 당신의 제자들이 마치 아비 없는 고아처럼 느껴져 한없이 슬퍼하셨다. 가련한 우리 인간은 오직 하느님의 은총에만 기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Before being taken to the Cross, during a long good-bye, Jesus felt strong pity and compassion for the disciples because they looked like an orphan without a father. For us, pitiful humans perhaps, the only place to turn to is God's grace.
그림 설명: 빈센트 반고흐, 감자 먹는 사람들
Painting: Vincent Van Gogh, Potato eaters

Monday, 30 August 2010

장례 미사 - Funeral Mass

장례 미사에 참석하면 항상 숙연해 지는 기분이다.
한 생을 어떻게 살았든 고인이 스스로 삶을 포기하지 않고 하늘이 데려갈 때까지 묵묵히, 또는 치열하게 살아왔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존경스러운 일이다.
그리고 너나 할 것 없이 '잘 사는 것'에 혈안이 된 이 세상에서 '잘 죽은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I always feel solemn when I attend a funeral mass.
It already deserves respect that the departed lived out his life until the heaven calls him back home.
And in the funeral service, I am give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well-dying' in this world where so many people are only interested in 'well-being'.

Thursday, 26 August 2010

그에게 얽힌 사연은 무엇일까 - What story does he have to tell?

덕수궁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 리얼리즘 Realism in Asian Art'라는 전시회에 다녀왔다. 미술에 일가견이 있으신 분과 함께 찾은 길이었다. 그분께서 붓의 터치, 기법의 능숙도, 전제적인 인상에 대해 간간이 던지시는 말씀에서 배우는 것이 많았다.

I visited an exhibition titled 'Realism in Asian Art'. It was a collection of works by Asian artists upon whom European realism influenced. Since I was there with someone who has an expert knowledge on arts, I could learn a lot from him when he spoke, from time to time, about touches of brush, skills and techniques, or overall impressions on the individual paintings in the exhibition.

서양 미술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후반 이후 아시아 예술가들이 그린 사실주의적인 작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서양 화풍에 동양적 정서와 풍경이 담겨 있어서 한켠으로는 남의 옷을 빌려 입은 듯한 서먹서먹함이 느껴지기도 하고, 한켠으로는 친근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작가들은 수묵화나 옻칠 채색을 통해 자국 문화의 정체성을 더욱 강하게 표현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 점이 기억에 남는다.
The collection consisted mainly of those works since late 1800'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art and adopted realistic approach to the themes. Most of them contained East Asian sentiments and scenery framed in European style of arts. Therefore they gave me some sort of unfamiliarity as if to be wearing someone else's clothes whereas they also made me feel quite comfortable with their Asian elements. Some of the paintings by Chinese and Vietnamese artists were ink-and-wash paintings or paintings varnished with lacquer. Using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and materials, they strongly expressed their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pride.



여러 작품들 가운데서 인상에 남는 그림 하나는 인도네시아의 수조요노라는 작가가 그린 '앙클룽 연주자'라는 그림이었다. 앙클룽은 인도네시아 지역의 전통악기라고 한다. 다소 엷은 색조로 된 이 그림 속 연주자의 모습은 왠지 수척하고 서글퍼 보였다. 음악을 연주하는 이의 얼굴 표정은 기쁘고 즐거워야 할 것 같은데 왜 슬픔이 어려 있어 보이는 것일까. 무슨 사연이라도 가지고 있는 것만 같아 보였다. 전시장에서 실제로 그림을 보았을 때엔 무엇보다도 연주자가 손에 낀 반지가 두드러져 보였는데, 그에게 연인 혹은 아내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 같았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연주를 업으로 삼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슬픈 음악을 막 연주한 참인지... 몽환적인 배경 속에 어색하게 서 있는 앙클룽 연주자의 모습이 은근히도 내 맘 속에 남아 있다.
Among the many works, 'Angklung Player' by Sudjojono, who is an Indonesian painter, lingers in my mind. Angklung is said to be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n Indonesian region. Painted in a light and pale tone, the player looks a bit thin and to be in a deep sorrow. Although not always the case but, is it not generally so that those who play music look merry and happy? But why does this musician look sad? What kind of stories does he have to tell us? When I saw the painting in person at the exhibition, the ring on his hand caught my eyes. It seems to be telling me that he has a wife or at least someone he loves. Maybe he plays the Angklung to support his family? Maybe he just finished playing a sad tune from the Angklung thinking of the one he loves... The Angklung player, who is standing in a shy position with a dreamy background, is still roaming about in my heart.



작품 설명 - About the painting above

신두다르소노 수조요노, 인도네시아, '앙클룽 연주자', 1956년, 캔버스에 유채
Shindudarsono Sudjojono, Indonesia, Angklung Player, 1956, Oil on canvas

Tuesday, 24 August 2010

올 여름 내가 만났던 이들 - My summer memories

처서가 지나니 여름을 갈무리라도 하는 듯 비가 내리고 날이 선선해졌다.
유난히 무더웠던 올 여름, 나는 이들을 만났다...


After Chuseo(one of the 24 seasonal divisions occurring about the end of August according to the Oriental Calendar. We wait for the autumn to come at the time of the year), it rained as if to add the finishing touches to the out-going summer. And the weather cooled down suddenly.

This weather was particularly hot this summer as if in a steamer. During this period, I met those people...


St. Thomas Aquinas: 성 토마스 아퀴나스
E.M.Forster: E.M.포스터
Henry Nouwen: 헨리 나우웬
Henry Purcell: 헨리 퍼셀
Joan Baez: 조앤 바에즈
Reinhard Mey: 라인하르트 마이



Tuesday, 27 July 2010

누군가의 슬픔 - Sorrows of others

며칠 전 최근에 알게 된 어떤 어린 친구가 커다란 슬픔을 겪게 되었다. 용감한 아이라 혼자서 슬픔을 이겨내는 타입이다. 참으로 힘겨운 소식을 듣고 나서 문득 내가 감히 그 슬픔의 깊이를 상상조차 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A few days ago, I heard of a news that a friend of mine whom I came to know quite recently underwent a very grave tragedy. She is a kind of courageous type who tends to be independent and does not want to depend on others to be consoled. After I heard the news, I suddenly realised that I could not even dare to understand the depth and width of the sorrow that she might be going through.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들의 아픔에 대해 깊은 연민을 느끼셨다. 그런데 나는 다른 이들의 아픔을 과연 얼마만큼이나 이해할 수 있을까. 내 삶의 작은 불편함에는 목놓아 울면서 다른 사람들의 상실과 고통에는 무심한 것이 아닌가. 아니, 무심하기에 앞서 타인의 슬픔을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이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Jesus felt deep compassion towards other people's sorrow. But how much can I understand that? I cry out aloud over petty inconveniences in my life but can be very much indifferent towards loss and pain of the others. No, not just indifferent. Do I really have the will and capacity to understand them?

어줍잖은 위로를 하려고 덤비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누군가의 슬픔에 진정한 연민을 느낄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예수님을 닮은 모습으로...
Instead of trying to console others without a slightest idea of what their sorrows might be, I wish to be a person of true compassion. Just like Jesus himself...

Thursday, 22 July 2010

마리아 막달레나 - Mary Magdalene

어떤 책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의 조각상을 보게 되었다. 도나텔로가 나무로 조각한 이 조각상은 마리아의 여성성을 부각하기 보다는 남루한 옷에 비참한 얼굴 표정으로 파격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그 책의 저자는 그리스 여신상의 튜닉을 닮은 마리아의 남루한 옷이 오히려 더욱 강렬한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I happened to come across a wooden sculpture of Mary Magdalene in an art book. It was a piece of art by a Florentine artist Donatello(1386-1466). This sculpture carries an exceptional beauty. Instead of focusing on a feminine beauty of Mary, the artist depicts desparate expression of her face and her situation, though not clearly seen what she might have been through, with worn-out garments on. The author of the book says her dress, which resembles a tunic of Greek goddesses, rather stresses Mary's tragic state.

마리아 막달레나는 예수님을 그다지도 사랑했던 사람이다. 조각에서 나타나듯 간절한 표정으로 두 손을 모은 그녀는 지금 어떤 마음일까. 그녀의 얼굴에서 단순한 절망보다는 마지막 희망을 하느님께 두고 그분께로 돌아가려는 마음이 읽힌다. 성서의 '돌아온 아들'의 비유를 떠올리게 한다.
Mary Magdalene loved Jesus so much. In the sculpture where Mary is putting her hands together with a desparate expression on her face, what could be her innermost emotions now? Well, I see in her not a simple despair but a heart facing God in a way that she put the last hope in Him. Somehow it reminds me of the parable in the Bible: the prodigal son.

나이가 들면서 이 세상 누구도 자신의 문제를 대신 고민해 줄 수도, 책임져 줄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부모나 선생님이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라는 깨닫는 순간은 고독한 순간이기도 하다. 결국 자신의 일은 자신이 책임질 수밖에 없다는 단순한 진리를 깨닫는 순간...

As I grow older, we realise there is no one on earth who can worry about things for me or can bear responsibility for me. The time when you realise neither parents nor teachers are omnipotent is the time of solitude. The moment of truth that you are the only one who can be responsible for yourself...

그러나 유한한 인간이 얼마나 '책임'질 수 있겠는가. 때로 감당하기 어려운 쓰라림이 있을지라도 정말 돌아가야 할 곳이, 정말 기댈 수 있는 곳이, 우리 곁에 있다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독함인지도 모른다. 도나텔로의 마리아는 멀고 긴 길을 돌아서 이제는 궁극적으로 가야할 길을 깨닫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살짝 아래로 향한 눈은 이제 마음 속에서 깊은 사랑으로 그분을 향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But how much responsibility can a human, who is a 'finite' being, fulfill? Perhaps, that moment of solitude may be a passage of rite in order to realise there is a Being whom we ultimately turn to, a Being whom we can truly rely on. Donatello's Mary must've been realised where she should turn to after a long journey. Her slightly down-cast eyes are now looking at Him in her deepest heart of love.
그림: 도나렐로 '막달라 마리아' 조각상 스케치
Picture: a sketch of Donatello's 'Mary Magdalene'